↓ 링크를 클릭하시면 전체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5A4nTHDLjMM?feature=shared
안녕하세요. 심리멘토TV의 김지우입니다.
오늘은 동기부여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하는데요.
우리는 살면서 가끔씩 “나는 왜 사는 걸까”, “내가 사는 이유는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할 때가 있죠.
이 질문은 우리의 존재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인 동시에
우리 삶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심리상담을 할 때도 빼놓을 수 없는 질문이기도 하죠.
만약 누군가가 여러분에게 “당신은 왜 사세요?”라고 묻는다면 여러분은 뭐라고 대답하시겠습니까?
이 질문에 대해서는 다양한 대답이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태어났으니까’라든가 ‘마지못해’라는 말을 흔하게 들을 수 있고,
심지어는 ‘죽지 못해’라는 말을 듣게 되기도 하죠.
하지만 대표적으로는 “나는 돈 많이 벌고,
사회적으로 성공해서 고급주택에 거주하면서 가족들과 맛있는 거 많이 먹고,
국내외 여행도 자주 다니기 위해 산다”라는 대답이 아닐까 싶습니다.
네, 그렇게 사는 것이 거의 모든 사람의 로망이겠죠.
그리고 이 대답은 궁극적으로 “나는 행복해지기 위해 산다”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요.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돈이 많아야 하고, 건강하고 가장이 화목해야 하고,
사회적으로 성공해야 한다는 인식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울러 이 말은 행복을 뭔가를 이루고 나서 얻는 결과물로 인식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한데요.
이런 인식은 지난번에 말씀드렸듯이 우리의 관념의 작용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우리가 존재하는 근원적인 질문에 대한 대답은 아닙니다.
우리가 돈을 많이 벌기 위해 태어났습니까? 아니면 사회적으로 성공하기 위해 태어났습니까?
그것도 아니면 가족들과 고급주택에 거주하면서 맛있는 거 많이 먹고,
국내외 여행을 자주 하기 위해 태어났을까요?
당연히 아니겠죠.
그런데도 이런 대답을 흔하게 들을 수 있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하기보다는
현실적인 현상에 관심이 더 많다는 반증일 것입니다.
자, 다시 앞의 질문으로 돌아가서 우리가 사는 이유가 뭔지를 좀 더 알아보자면
누군가에게서는 “나는 이 세상을 경험하기 위해 산다”라는 대답도 들을 수 있는데요.
이 말은 “나는 이 세상을 경험하기 위해 태어났다”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고,
마음공부하는 분들이 자주 쓰는 말이기도 하죠.
저도 심리를 연구하는 심리상담사이자 마음공부하는 수행자의 입장에서
이 대답이 가장 설득력 있게 와닿는데요.
“나는 이 세상을 경험하기 위해 태어났다”라는 말은
이 세상을 좋은 곳도 나쁜 곳도 아닌 경험의 장으로 인식하고
이 세상에서 내가 겪는 모든 현상 역시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아닌
경험의 대상일 뿐이라는 인식을 갖게 하기에 충분한 문장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인식이 우리의 내면에 깊이 뿌리를 내리게 되면
우리는 모든 것을 좋은 것과 나쁜 것으로 판단하는 왜곡된 관념에서 벗어나서
경험자의 입장에서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보고 듣고 느끼는 관점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될 때 우리는 좋은 것이라고 인식하는 것들,
즉 돈이 많고 건강하고 사회적으로 성공하는 것 등에 대한 집착이 줄어들고
나쁜 것이라고 인식하는 가난하고, 병약하고, 사회적인 낙오자가 되는 것 등에 대한
거부감도 훨씬 줄어드는 현상을 맞이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아울러 각종 심리적인 증상, 즉 우울증, 불안증, 강박증, 대인기피증, 발표공포증,
감정조절장애, 공황장애 등에 시달리는 분들도
자신이 겪고 있는 증상이 고통스럽긴 하지만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되는 나쁜 것이 아니라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하게 될 수도 있는데요.
각종 심리적인 증상에 시달리는 분들은 자신이 겪고 있는 증상을 나쁜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에서 벗어나기 위해 몸부림을 치게 되고,
그 증상에 계속 저항함으로써 내면의 갈등이 더욱 커지고 부정적인 감정이 증폭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는 사실을 떠올려보면
심리치유에 있어서 왜곡된 관념을 바로잡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그다음에 내가 사는 이유는 삶의 방향성에 대한 의미도 내포하고 있는데요.
“왜 사세요?”라는 질문은 “무엇 때문에 또는 무엇을 위해 사세요?”라는 질문의 성격을 띠게 된다는 것이죠.
이에 대해서는 앞에서 말씀드린 대로 “행복해지기 위해서 산다”라는 대답이 가장 와닿을 겁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행복해질 수 있을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역시 앞에서 말씀드린 대로 돈이 많아야 하고, 건강해야 하고, 가정이 화목해야 하고,
사회적으로 성공해서 남들에게 인정받는 사람이 되어야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가난하고, 병약하고, 가정이 파탄 나고,
사회적인 낙오자가 되는 것은 불행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고, 그렇게 될까 봐 두려워하죠.
이것이 바로 왜곡된 관념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인데 어째서 그런지는 다음의 질문을 통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그 질문은 바로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은 누구일까요?”라는 것입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은 돈이 많은 부자 또는 재벌일까요? 아니면 매우 건강한 사람?
아니면 가정이 화목하고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일까요?
물론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사는 사람’이라는 대답이 더 확실하다고 느껴질 것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은 돈이 많고 건강하고 가정이 화목하고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이 아니라
자기가 진짜로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사는 사람입니다.
돈이 많고, 건강하고, 가정이 화목하고,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 중에는 삶을 비관하고 괴로워하며
심지어 자살하는 사람도 있다는 사실을 떠올려보면 이 말 역시 쉽게 이해가 되실 겁니다.
저에게 심리상담을 받는 내담자분들 중에도 그런 조건을 다 갖춘 분들이 적잖게 계시는데요.
그런 분들이 저에게
“원장님, 제가 돈도 꽤 있고 건강도 괜찮은 편이고 가정에도 별문제가 없고
사회적으로도 비교적 성공한 케이스에 속하는데 왠지 행복하다고 느껴지지가 않습니다.
행복한 게 아니라 자꾸 우울해지고 만사가 귀찮게 여겨져서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은 것이
저의 솔직한 심정입니다. 남들에게 이런 말을 하면 배부른 소리라고 하겠지만
저에게는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라고 하소연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저는 그분들의 심정을 충분히 이해합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대로 우리는 돈을 많이 벌고 건강해지고 가정이 화목하고 사회적으로 성공하기 위해
이 세상에 태어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죠.
자, 그래서 “나는 왜 사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나는 이 세상을 경험하기 위해 산다”라는 대답과
“나는 내가 좋아하는 일, 또는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 산다”
라는 2가지 대답을 동시에 할 수 있고 그 의미를 분명하게 알고 있으면
자신의 마음이 훨씬 편안하고 여유로워질 뿐만 아니라
삶 자체가 즐겁고 재밌게 바뀌게 될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또한 “왜 사세요?”라는 질문에 대해 ‘태어났으니까’라든가 ‘마지못해’
또는 ‘죽지 못해’라는 대답은 더 이상 하지 않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살고 싶은 사람은 없을 테니까요.
그리고 자신이 사는 이유, 즉 삶에 대한 동기가 제대로 정립된 사람은
자신이 추구하는 지향점이 확고하기 때문에 웬만해서는 흔들리지 않고 꿋꿋하게 살아가는 반면에,
삶에 대한 동기가 불분명하고 약화된 사람은 작은 자극에도
쉽게 흔들리고 방황하는 현상을 보이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요.
이런 차이는 삶에 대한 동기가 마음의 안정감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사는 것이 왠지 우울하고 자꾸 무기력해진다면
삶에 대한 동기가 불분명하거나 약화되었다는 사실을 알아차리고
내가 사는 이유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동기부여를 새롭게 하는 것이 절실히 요청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 오늘은 내가 사는 이유, 즉 동기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다음에도 심리상담과 관련되는 또 다른 주제의 영상을 준비해서 여러분을 찾아뵙겠습니다.
오늘도 마음 편안한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 링크를 클릭하시면 전체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